이야기스토리

반응형

4대보험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하며, 우리나라 국민을 빈곤으로부터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 국민연금은 1988년에 도입되었으며, 당시에 연금수령 연령은 60세로 정년과 같았지만, 1998년 1차 연금개혁으로 2013년부터 2033년까지 기존 60세에서 5년마다 1년씩 늦춰 65세로 조정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정해진 나이에 연금을 수령받는 것은 아닌데요. 가입하신 분이 희망을 하시면 최대 5년을 앞당겨 받을수 있으며, 그 반대로 5년 뒤에 수령할 수도 있습니다. 노령연금 개시 시기를 1년씩 앞당길 때에는 연금액이 6%씩 줄어들어, 5년을 앞당길 경우 연금액의 30%가 감액이 됩니다. 반대로 노령연금을 늦추면 1년에 7.2% 늘며, 최대 5년 36% 더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국민연금 최고액 수령액은 월 246만원이며, 매달 200만 원 이상 연금수령자는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년 이상 장기 가입해 보험료를 내고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76만 2천643명으로 월평균 97만 227원의 연금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이슈로 자주 거론되는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하기

반응형

우선 국민연금 홈페이지를 접속해주셔야 하는데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nps.or.kr/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위에 [전자민원이용(로그인필요)] 메뉴를 눌러주세요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국민연금 민원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처리한다는 창이 뜨게되는데요.

여기에 [개인 인증], [사업장 인증] 중에 저는 개인이므로 개인 인증을 눌러보겠습니다.

[개인 로그인] 창이 나오며, 여러가지로 본인 인증을 할수 있는데요. 저는 가장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 간편 인증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본인에게 맞는 로그인 방식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간편인증 창으로 넘어와서 국민은행, 신한은행,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코, 패스, 삼성패스 등 다양하게 인증이 가능하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저는 카카오톡 인증으로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번호, 서비스 이용에 대한 동의 전체동의를 체크하고 난 뒤 확인을 하였습니다.

본인 인증으로 로그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국민건강공단 처음 페이지로 돌아가고, [자주 찾는 민원서비스]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빨간 네모칸으로 보기 쉽게 만들었으니 사진 참고해 주세요.

[내 연금 알아보기] 창을 눌러서,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였습니다. 예상연금회 조회, 장애. 유족 예상연금액 조회, 가입. 납부내역 조회, 국민연금 찾아가세요, 연급급여 청구, 연금급여 상담 예약신청 표시 창을 보실 수 있는데요. 우리는 여기서 [가입. 납부내역 조회]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면, 총 납부내역 확인 창이 뜨는데요. 여기에는 납부한 연금보험료, 월수와 금액,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납입예정인 보험료 포함) 등으로 확인을 하실 수 있는데요. 총 가입 월수, 금액으로도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페이지창에서 본인의 총 가입 월수와 금액을 확인하셨을 텐데요. 밑으로 스크롤을 쭉 내리다 보면 노후준비자금 통합 계산, 노후준비자금 계산, 내 연금 알아보기, 예상연금조회, 간단 재무설계, 노후준비 상담지사 안내 등의 여러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저의 금액을 확인을 하고 나서 미래 노후를 위해 더 열심히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나중에는 자금이 고갈될 수 있다는 이슈 등이 나오고 있으니, 어떻게 변하는지 눈을 부릅뜨고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