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스토리

반응형

휘발유보다 저렴하다고 인식했던 경유와 등유는 공급이 줄어들게 되면서, 주유소 기름값을 보고 놀라시지 않으셨나요? 우리나라에서는 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주행세 등의 세율은 경유보다 휘발유에 많이 붙지만 최근 세계 3대 산유국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경유 수출이 막히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공급이 줄어들어 가격이 올랐습니다. 오늘은 주유소마다 가격이 달라서 어디서 기름을 넣어야 좀 더 저렴하게 주유할 수 있을지 고민이신 분들은 위해 준비했습니다.

합리적이고 믿을 수 있는 유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석유공사는 2008년부터 오피넷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PC나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며, 위치정보를 통해 저렴한 가격의 주유소를 쉽고 빠르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세차, 셀프, 행사 등의 부가서비스, 지역별 주유소, 경로별 주유소, 가짜석유 주유소 찾기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어플로 자리 잡았습니다.

어플을 실행하게 하시면, 요소수 주유소, 내 주변 주유소, 지역별 주유소, 관심주유소, 오늘의 유가, 고속도로 주유소, 경로별 주유소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실수 있는데요. 내주변 주유소를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주변 주유소]를 눌러보면 현재 나의 위치에서 고급휘발유, 휘발유, 경유, LPG, 등유가 저렴한 주유소를 쉽게 찾아보실 수 있는데요. 현재 나의 위치가 아니더라도 내 위치 수동설정을 통해 해당지역 주변 정보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왜 주유소마다 가격이 다를까요?

우리나라는 1997년 유가 자율화를 시작하게 되면서, 주유 사업자가 마음대로 가격을 책정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서 사업자는 다양한 영업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보통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서울이나 경기 등의 수도권 지역은 인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보다 가격이 높은데, 이는 지역물가, 땅값, 인건비, 대리점 공급가, 주유소 인력 고용형태, 영업전략 등 다양한 이유로 주유소마다 가격이 다르게 형성된다고 하는데요.

또한 가격이 전국 최고 수준의 주유소의 경우는 주변에 높은 소득 수준과 회사들이 많아서 사업자가 굳이 가격을 낮추지 않아도 매출이 줄어들지 않고 충분하게 소비되기 때문에 비싼 기름값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기름값 비교 사이트와 주유소마다 가격이 다른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부터 오피넷을 통해 고민 없이 기름값을 비교, 합리적인 주유소를 찾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